eros 2017. 6. 12. 15:02






* 상위 항목 분류
  - ID        : 분류
  - Current   : 현재 실행(결과) 값
  - Worst     : 하드디스크가 첫 사용 시점시 기록된 값보다 못한 것이 Worst 값.
  - Thereshol : 파라미터의 여러 값은 threshold 아래에서 얻지 않음.
  - Data      : ID에 맞게 사용 가능한 데이터를 보여줌.
  - Status    : 파라미터의  상태(OK or failed)


* 특이점 발생시 노란색 음영
 -> 특이사항 또는 이상값 발생시 노란색으로 하이라이트 되는데, 일부 HDD 에서 값이 정상인데도
    노란색 경고가 뜨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주의를 요하는 항목을 표시하거나, '측정하기 어려운
    혹은 불가한' 경우에 HDD tune 에서 임의로 띄우는 경고이므로 무시해도 좋다.
    (정 찜찜하다면 각 제조사의 전용 유틸리티를 써보기 바란다.)

* 항목ID별 의미
 -> 항목 ID에 적힌 명칭은 유틸리티마다 다르게 표기되기도 하는데, 04 0A BC C7 등과 같은
    코드번호로 구분하면 정확하다. (같은 코드번호는 이름이 달라도 같은 항목이다.)

  # (01) Raw Read Error Rate (낮을수록 좋다, 정상값 0)
   -> 데이터 읽기 에러율을 나타낸다. 0 이외의 값은 헤드가 트랙위에 정위치하지 못하고 해메는
      상황이 종종 발생하는 것을 의미하며, 그러한 상황이 HDD 자체에 손상을 주지는 않으므로
      크게 신경쓸 것 없다. (단 잘못 읽었으니 다시 읽느라 시간이 배로 걸릴 것이다.)
      ※ 시게이트 제품은 이 값이 아무 이유없이 높다.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다)
  # (03) Spin Up Time
   -> 스핀들 모터가 돌아가는 평균 시간(0 RPM 부터 최대 RPM까지[밀리세컨])
  # (04) Start/Stop Count
   -> 스핀들 모터의 시작/멈춤 사이클 횟수이다. HDD 파킹시 또는 저전력 대기모드로 들어갈 때
      카운트가 한개씩 증가된다.
  # (05) Reallocated Sectors Count(낮을수록 좋다, 정상값 0)
   -> HDD는 안정성을 위해서 예비섹터를 두고 이상섹터(베드섹터 or 오류율이 높은 섹터) 발생시
      예비섹터로 재할당(Reallocated)하는데, 이 수치는 재할당 된 섹터의 숫자를 나타낸다.
      치환섹터가 많이 발생한다는 것은 읽기/쓰기 속도감소는 물론 데이터가 손상되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S.M.A.R.T 에서 주의해서 체크해야 할 항목이다.
      ※ 시게이트 제품군중 바라쿠다12세대가 이 문제로 몸살을 겪었다. (일명 RSC 문제)
  # (07) Seek Error Rate(낮을수록 좋다, 정상값 0)
   -> 헤드의 탐색 에러율을 나타내는데, 기계상의 결함 혹은 HDD 과열에 의해 주로 발생한다.
      ※ 시게이트 제품은 이 값이 아무 이유없이 높다.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다)
  # (09) Power-On Hours
   -> 전원이 켜진 총 시간을 표시한다. 컴퓨터가 켜져 있으면 하드가 미사용중이라도 올라간다.
  # (0A) Spin Retry Count(낮을수록 좋다, 정상값 0)
   -> 스핀을 다시 돌리는(retry) 횟수이다. 플래터가 정상속도로 돌지 못하고 너무 느리거나
      빠른 속도로 돌게되면 잠시 플래터를 멈추었다가 다시 정상속도로 돌리는 것을 시도하는데
      이 값이 증가했다는 것은 기계결함을 의미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 (0C) Power Cycle Count
   -> (09) Power-On Hours와 비슷한데, HDD가 꺼지고 켜진 횟수를 기록한다.
  # (B8) End-to-End error(낮을수록 좋다, 정상값 0)
   -> 버퍼메모리를 사용중 전송한 데이터의 체크결과가 매치되지 않았을 때를 표시한다.
      흔히 있는 에러가 아니므로 수치가 높다면 버퍼메모리의 불량을 의심할 수 있다.
  # (BB) Reported Uncorrectable Errors(낮을수록 좋다, 정상값 0)
   -> 하드웨어 ECC를 사용한 복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다수의 에러를 표시한다.
  # (BC) Commanded Timeout(낮을수록 좋다, 정상값 0)
   -> 주로 케이블이상에 의해 발생하며 데이터를 요청했는데 HDD가 반응하지 않은 경우이다.
  # (BD) High Fly Writes(낮을수록 좋다, 정상값 0)
   -> 헤드가 일반적인 운용 범위를 벗어나게 될 때 증가한다.
  # (BE) Airflow Temperature(낮을수록 좋다)
   -> HDD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인데, 내부온도를 직접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서
      이 값은 잘 쓰지 않는다.
  # (C2) Temperature(낮을수록 좋다)
   -> 이것이 진짜 HDD 내부의 온도이다. HDD 내부온도는 50도 이하라면 문제가 없지만 60도가
      넘으면 기계적인 이상작동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이 수치가 높다면 HDD 쿨러장착을
      고려해 보거나, 본체 케이스의 공기흐름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 (C3) Hardware ECC Recovered
   -> ECC-corrected 에러의 횟수로 원인이 다양하기 때문에 어떤 특정한 이상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서 크게 신경쓸 수치는 아니다.
  # (C5) Current Pending Sector Count(낮을수록 좋다, 정상값 0)
   -> 불안정한 섹터의 갯수다. 아직 치환이 된 것은 아니지만 잠재적인 RSC의 원인이 된다.
  # (C6) Uncorrectable Sector Count(낮을수록 좋다, 정상값 0)
   -> 읽기/쓰기 섹터에서 수정이 불가능한 에러의 총 개수다. 이러한 섹터의 발생은 HDD 데이터의
      오염을 가져오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 (C7) UltraDMA CRC Error Count(낮을수록 좋다, 정상값 0)
    -> HDD와 시스템간 데이터 전송중 발생한 에러로 "케이블 불량"이 원인이다.
        케이블 불량은 IDE보다 SATA 방식의 케이블에서 더 많이 발생한다.
  # (F0) Head Flying Hours
    -> 헤드가 읽기/쓰기를 위해서 공중에 떠 있던 시간을 기록한 값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