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석희 앵커브리핑중 대한민국에 구하는…'이별에 대한 예의'
끝이 처음과 같을 수는 없습니다. 처음의 마음만큼 간절하고 뜨거운 것은 없겠지요. 그러나 사람들은 끝도 처음과 같고자 애를 씁니다.
흐트러짐을 다잡고 질척이는 모습을 남기지 않으려는 것. 그것은 끝까지 존엄을 지키고 싶은 인간의 욕구 때문일 겁니다.
"삶은 순간순간이 아름다운 마무리이자 새로운 시작이어야" 법정<아름다운 마무리>
법정스님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아름다운 마무리란 처음의 마음으로 돌아가는 것. 내려놓음, 비움, 타인의 상처를 치유하고, 끝내는 홀로 서는 것.
그렇습니다. 대한민국은 지금 이별하고 있는 중입니다.
100% 대한민국이 아니라 몇몇의 꿈이 이루어졌던 나라. 국민 돈으로 만들어진 지원금에 꼬리표를 달아 문화예술을 좌우하려 했던 폭력. 그 밖에도 셀 수 없는 그 많은 비정상들.
그것을 보고도 못 본 체 했던 고위공직자와 대학의 스승들과 공무원들의 구태와, 그 비정상을 계속 유지하고자 시민을 선동하고 광장의 다른 편으로 동원한 어두움까지.
시민들은 온 나라를 뒤덮어왔던 그 수많은 비정상들과 이별하고자 합니다.
그 아름다운 마무리. 처음과 같은 끝을 위해 시민들은 광장에서 질서를 지켰고 마음을 어지럽히는 가짜뉴스의 피곤함 속에서도 진실을 보려 애써왔으며, 촛불을 종북이라 칭하는 이들을 똑같이 미워하지 않으려 노력했습니다.
그렇게 해야만 우리 사회를 오랫동안 지배해온 구태와 비정상. 어두움, 폭력과 비로소 작별할 수 있을 것이라 여겼던 것입니다.
"이별에도 예의가 필요하다"
언론인 김선주의 10년 전 칼럼의 제목입니다. 그는 한때 빛나던 순간들이 이별할 때 추레해짐을 안타까워했습니다.
"사랑의 순간이 뜨거웠을수록 이별의 고통은 크다. 왜 사람들은 그 고통을 견디지 못하고 사랑의 순간들까지도 훼손하는 것일까… 그 빛나던 순간까지도 추레한 것으로 만드는 것을 보면서… 염치와 예의를 차리지 않는 아집을 본다"
끝을 향해 달려가는 지루한 시간 속에서 끝에 대한 예의. 이별에 대한 예의.
지금 시민들은 이별해야 하는 모든 것들을 향해, 바로 그것을 요구하는 중입니다.
오늘(9일)의 앵커브리핑이었습니다
[김선주칼럼] 이별에도 예의가 필요하다
살면서 우리는 수많은 이별을 경험한다. 싫든 좋든 떠나야 할 때가 되면 떠나야 한다. 세상과의 영원한 이별인 죽음은 어쩔 수 없지만 우리는 모든 크고작은 이별의 시간과 장소,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허망하지만 사랑은 움직이는 것이고, 사랑이 떠난 자리를 붙들고 있다고 해서 사랑은 돌아오는 것은 아니므로 고통을 견뎌내야만 한다.
연초에 세상을 떠들썩하게 만든 연예인 부부의 이별과정은 너무나 서글펐다. 단 한마디 모두 내가 잘못했다는 말만 했으면 됐을 일이다. 그러나 내탓이 아니라고 상대를 비방하고 흠집내기를 하는 동안 사랑했던 시간들과 그 사랑의 진정성까지도 의심하게 만드는 사태가 벌어졌다. 이별의 고통을 견뎌낼 줄 몰랐기 때문일 것이다. 그 일주일 뒤인가 30년 결혼생활을 한 미국의 갑부 부부가 이혼하면서 소송도 없이 재산을 의논껏 나누고, 지난 결혼생활은 행복했고 이제 서로 다른 길을 가겠다고 기자회견을 한 것을 보았다. 이별의 고통을 과거에 진정으로 사랑했던 시간에 대한 존중으로 바꾸어낸 것이다.
남녀 사이 사랑만이 사랑은 아니다. 직업과 학문, 예술에 걸었던 열정도 사랑이다. 나라와 겨레, 혹은 어떤 이상을 위해 뭉쳤던 뜨거운 순간들도 사랑이다. 사회적 이슈에 몸과 마음이 아플 정도로 헌신했던 터질 것 같은 순간들도 사랑이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 그런 순간들을 뒤로 하고 헤어져야 할 때가 온다. 사랑의 순간이 뜨거웠을수록 이별의 고통은 크다. 왜 사람들은 그 고통을 견디지 못하고 사랑의 순간들까지도 훼손하는 것일까?
최근 열린우리당의 탈당사태를 보면서도 이별을 이렇게 할 수밖에 없는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해관계가 다르고 꾀하는 바가 다르면 정치집단의 이합집산이야 당연한 것이다. 그러나 그들에게도 처음 당을 만들었을 때의 역사적 소명감이나 명분, 기대, 서로 손을 마주잡고 부풀어 오르던 일체감의 순간들이 있었을 터이다. 그런 순간들을 기억한다면 이런 방식의 헤어짐이 너무 염치없고 부끄러운 일이 아닐까 싶었다.
10년 전에 고향인 경남 진해에 내려가신 사회학자 이효재 선생께 물은 적이 있다. 이곳저곳에서 선생님이 필요하다는데 왜 갑자기 낙향하셨냐고. “어느 순간 내가 한 말을 또 하고 한 말을 또 하더라. 아차 싶어서 중요한 자리를 맡거나 선두에 나서기에 적절치 않다는 생각이 들었다”는 게 선생의 답변이었다. 생물학적인 나이와 거기에 따른 노쇠현상을 인정하는 것은 고통스러운 일이다. 그러나 놀라운 자기억제로 고통의 순간들을 이기고 떠날 시기를 선택한 것이다. 지난 주말 찾아뵈었더니 선생은 진해에 ‘기적의 도서관’을 유치하고 그곳에서 스탬프를 찍으며 건강하게 지내고 계셨다.
우리 사회엔 자신의 시대는 지나갔는데도 망녕된 글이나 발언을 하는 인사들이 더러 있다. 한때 빛나던 사람들이다. 그 빛나던 순간까지도 추레한 것으로 만드는 것을 보면서 세월에 대한 겸손함이나 염치와 예의를 차리지 않는 아집을 본다. 봄이 지나 여름이 왔는데도 지난 봄을 붙잡고 봄은 어떠해야 한다고 말한다. 봄은 다시 오지만 다시 오는 봄은 과거의 그 봄은 아니고 새로운 봄이라는 것을 왜 모를까. 자신이 어떤 시대의 대변자였다고 해서 자기 삶의 모든 시기를 통틀어 시대를 대변하겠다는 것은 만용이다. 슬프지만 인정하고 떠날 때를 알아야 한다.
우리는 처음 사랑을 시작할 때 서먹서먹하지만 설레는 마음으로 상대에게 주춤주춤 다가간다. 그 아름다웠던 순간들, 인생에서 많지 않았던 그 뜨거운 사랑의 순간들을 잿빛으로 만들지 않으면서 우리는 이별을 맞아야 하고 고통도 받아들여야 한다. 그것이 모든 사랑했던 순간들에 대한 예의고 또한 이별의 예의다.
한겨레 신문 2007-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