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이슈
국내1호 금융사들 ‘역사 속으로’
eros
2006. 3. 24. 00:53
오는 4월 통합하는 신한은행과 조흥은행의 통합 은행명이 ‘신한은행’으로 결정됨에 따라 우리나라 제1호 금융사들은 모두 역사속으로 사라지게 됐다.
최초의 보험사인 조선생명보험이 60년대 없어진데 이어 대한증권이 1994년에 교보생명에 인수됐고, 최초의 은행인 조흥은행마저 신한금융지주의
울타리로 들어갔다.
국내 자본으로 설립된 최초의 금융업체는 조흥은행의 전신인 한성은행으로 구한말인 1897년 2월에 설립됐다. 앞서 일본제일은행이 1878년 6월 부산지점을 개설하면서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 은행제도가 도입되고, 일본보험회사인 제국생명도 1891년 부산지점을 개설했으나 한성은행은 명실상부한 국내 최초의 금융사로 기록돼 있다.
이는 중앙은행인 한국은행 설립(1909년 10월)보다도 무려 12년이나 앞선 것으로, 이후 공립한성은행, 조흥은행으로 이름을 바꿨으나 108년간 명맥을 유지해 왔다. 통합은행의 존속법인이 조흥은행으로 유지돼 명맥을 유지할 수 있게 됐지만 통합은행명이 신한은행으로 결정되면서 국민들은 4월부터는 더 이상 조흥은행의 ‘간판’을 접할 수 없다.
조흥은행을 끝으로 국내 은행의 대명사처럼 인식됐던 ‘조·상·제·한·서’(조흥, 상업, 제일, 한일, 서울은행) 역시 모두 사라졌다. 제일은행은 스탠다드차타드은행(SCB)에 인수돼 SC제일은행으로 바뀌었다. 서울은행은 하나은행에 합병됐다. 상업과 한일은행은 한빛은행을 거쳐 우리은행으로 바뀌었다.
국내 최초의 보험사인 조선생명보험은 1921년 10월 조선총독부로부터 설립인가를 받았다. 이는 최초의 손해보험사인 조선화재해상보험(현 메리츠화재)보다 9개월 가량 앞선 것이다. 조선생명은 1950년 5월 한국생명으로 이름을 바꿔 새출발을 시도했으나 6·25 전쟁으로 생명보험 자체가 완전히 무의미해지는 사태를 맞았으며, 결국 휴전 이후에도 영업을 재개하지 못한 채 1962년 9월 재무부에 의해 면허가 취소됐다.1949년 11월에 출범한 대한증권도 1994년 교보생명에 인수되면서 교보증권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창구기자 window2@seoul.co.kr
- Copyrights ⓒ서울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국내 자본으로 설립된 최초의 금융업체는 조흥은행의 전신인 한성은행으로 구한말인 1897년 2월에 설립됐다. 앞서 일본제일은행이 1878년 6월 부산지점을 개설하면서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 은행제도가 도입되고, 일본보험회사인 제국생명도 1891년 부산지점을 개설했으나 한성은행은 명실상부한 국내 최초의 금융사로 기록돼 있다.
이는 중앙은행인 한국은행 설립(1909년 10월)보다도 무려 12년이나 앞선 것으로, 이후 공립한성은행, 조흥은행으로 이름을 바꿨으나 108년간 명맥을 유지해 왔다. 통합은행의 존속법인이 조흥은행으로 유지돼 명맥을 유지할 수 있게 됐지만 통합은행명이 신한은행으로 결정되면서 국민들은 4월부터는 더 이상 조흥은행의 ‘간판’을 접할 수 없다.
조흥은행을 끝으로 국내 은행의 대명사처럼 인식됐던 ‘조·상·제·한·서’(조흥, 상업, 제일, 한일, 서울은행) 역시 모두 사라졌다. 제일은행은 스탠다드차타드은행(SCB)에 인수돼 SC제일은행으로 바뀌었다. 서울은행은 하나은행에 합병됐다. 상업과 한일은행은 한빛은행을 거쳐 우리은행으로 바뀌었다.
국내 최초의 보험사인 조선생명보험은 1921년 10월 조선총독부로부터 설립인가를 받았다. 이는 최초의 손해보험사인 조선화재해상보험(현 메리츠화재)보다 9개월 가량 앞선 것이다. 조선생명은 1950년 5월 한국생명으로 이름을 바꿔 새출발을 시도했으나 6·25 전쟁으로 생명보험 자체가 완전히 무의미해지는 사태를 맞았으며, 결국 휴전 이후에도 영업을 재개하지 못한 채 1962년 9월 재무부에 의해 면허가 취소됐다.1949년 11월에 출범한 대한증권도 1994년 교보생명에 인수되면서 교보증권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창구기자 window2@seoul.co.kr
- Copyrights ⓒ서울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