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7월 저는 이 자리에서 161년 만에 자신들의 오류를 수정한 뉴욕타임스의 일화를 소개해 드렸습니다.
2014년 뉴욕타임스는 그로부터 161년 전의, 어찌 보면 사소할 수도 있는 철자 오류를 바로잡았다는 것이었지요.
뉴욕타임스의 그런 행동은 비록 무결점, 무오류는 현실적으로는 불가능한 것이라 해도, 적어도 자신들은 무결점, 무오류를 지향한다는 자긍심의 표현이었으리라고 생각합니다.
당시 제가 이 일화를 소개해 드렸던 이유는 그로부터 며칠 전에 있었던, JTBC 뉴스의 영문 오역 보도 때문이었습니다. 지금 돌이켜봐도 뭐라 할 말이 없는, 사실 되돌아보기도 편치 않은 일이었습니다.
그리고 그 앵커브리핑의 결론 부분에서 저는 이렇게 말씀드렸습니다.
앞으로도 JTBC 뉴스는 잘못이 있다면 정정해야 하며, 당장 알지 못했다면 161년 뒤에라도 사과해야 한다는 것. 그렇게 해서 훗날 "JTBC 뉴스가 그렇게 말했으니까…"라는 말을 들으면 참으로 좋겠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잘못이 있다면 정정한다…. 사실 쉽지는 않은 일인 것 같습니다. 누구나 무결점, 무오류를 지향하지만, 그것은 신의 영역일 뿐, 인간의 영역에서는 수많은 결점과 오류를 저지르고 또 겪게 되니까요.
오늘 1부에서 저는 어제 보도 내용 중 그래프 오류와 관련해 정정하고 사과드렸습니다.
그러나 사실은 이것이 단순히 실수라고 말하고 넘어가기에는 그동안 그 횟수가 여러 차례였습니다.
게다가 특정 후보들에게 불리하게 제시된 횟수가 공교롭게도 많다는 것은 선거 국면에서는 뉴스의 저의를 의심받을 수 있는 상황이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그 때문에 대선 보도에 임하고 있는 JTBC 뉴스의 신뢰도에 금이 간다면 저로서는 당연히 정정하고 사과드려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초기에 몇 번의 실수가 이어졌을 때 보도국 조직이 보다 크게 함께 각성하지 못한 것은 철저하게 저의 잘못이고 모자람입니다.
엊그제 저에게 도착한 어느 40대 시청자분의 메일은 꾸지람과 애정을 함께 담고 있었습니다. 사실 그래서 더 마음이 아픕니다. 애정은 감사하게 받아들이고, 꾸지람은 소중하게 받겠습니다.
여전히 훗날 "JTBC 뉴스가 그렇게 말했으니까…" 라는 말을 듣고 싶다면 분명히 또 있을 잘못에 대해 또 정정하고 사과드려야겠지만, 다만 바람이 있다면 그 횟수가 좀 많이 줄었으면 하는 것입니다.
시청자 여러분, 다시 한 번 깊이 사과드립니다.
2016-07-25 의 앵커브리핑을 시작하겠습니다.
루쉰이 그렇게 말했으니까…
지난 2주일 동안 저희 뉴스룸은 저널리즘과 관련된 두 번의 고민의 기회를 가졌습니다.
먼저 첫 번째 고민에 대한 얘기는 뉴욕타임즈의 일화로 시작하겠습니다.
2년 전인 2014년. 뉴욕타임즈는 그로부터 무려 161년 전에 보도했던 기사를 바로잡았습니다. 1853년 1월 20일자 기사 중 누군가의 이름 철자가 잘못 쓰였다는 것이었습니다.
너무나 오래된 일이었고 사소한 오·탈자일수도 있겠지만, 그것을 드러내고 교정하는 것은 언론의 당연한 의무라고 판단한 것이겠지요.
지난 13일 뉴스룸의 보도. 사드 포대와 레이더를 배치한 괌 현지 상황과 관련해서 미군 기관지 '성조지'를 인용한 내용을 전해드린 바가 있습니다.
그 중의 일부는 이미 지난주 일요일에 정정하고 사과드린 것처럼 오역이었습니다.
더구나 저희들의 오역은 단순한 오·탈자와는 다른 명백한 '잘못'이었습니다.
깊이 다시 한 번 사과드립니다.
그리고 또 한 가지는… 한국 제일의 대기업 회장의 성매매 의혹. 세간의 관심은 JTBC가 보도하느냐였지요.
저희들이 고민한 것은 지금까지 그래왔던 것처럼 그 기업이 어느 기업이고, 그가 누구냐에 있지는 않았습니다.
그동안 뉴스룸은 비록 완벽하진 못했어도 해당 기업에 대한 문제제기성 보도를 힘닿는 한 게을리 하지 않으려 노력해왔습니다.
저희들이 이번 사건을 두고 고민한 것은 단지 뉴스의 가치였습니다.
물론 저희들은 관련 내용을 인용보도해 드렸고, 따라서 해당 뉴스에 대한 가치판단은 보도를 하는 쪽으로 내렸던 셈입니다.
그리고 한편으로 좀 더 생각해 볼 문제도 있습니다.
힘있는 대기업이 그 힘을 가지고 언론사들의 자율성을 침해한다면 그것은 정당하지 않습니다. 사실 삼성이 받고 있는 의심은 바로 그런 것이기도 합니다.
동시에 이 사건을 보도함에 있어서 단지 그것이 힘 있는 대기업 회장의 문제냐, 아니냐를 떠나 무엇이 저널리즘의 본령에 맞느냐를 놓고 고민할 수 있는 자유도 있어야 할 것입니다.
이른바 진영논리에 의해서가 아니라 말입니다.
이상이 저희 뉴스룸이 지난 2주 동안 통과해왔던 문제들입니다.
중국 작가 위화의 산문집 '사람의 목소리는 빛보다 멀리 간다'에는 이런 구절이 있더군요.
"루쉰이 그렇게 말했어…"
중국의 문화혁명 시절. 사소한 문제로 친구와 다투던 어린 시절의 위화는 갑자기 떠오른 이 한마디 말로 친구를 설득할 수 있었다고 말합니다.
문화혁명의 소용돌이 속에서도 아큐정전의 작가 루쉰의 말은 중국인들에게 신뢰와 권위로 받아들여졌다는 것.
저도 언젠가는 이 뉴스룸을 떠나게 될 것입니다. 그 이전이든 그 이후든 저나 우리 기자들이나 또 다른 잘못도 있을 것이고, 또한 저널리즘 자체에 대한 고민도 이어지겠지요.
답은 명확합니다. JTBC 뉴스는 잘못이 있다면 주저없이 정정해야 하며, 당장 알지 못했다면 161년 뒤에라도 사과해야 한다는 것… 그리고 무엇이 저널리즘의 본령인가를 고민해야 한다는 것.
그렇게 해서 훗날, "JTBC 뉴스가 그렇게 말했으니까…"라는 말을 들으면 참으로 좋겠습니다.
오늘의 앵커브리핑이었습니다.
'▒밑줄을 그으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석희 앵커브리핑중 "이것이 총리의 얼굴인가" 묻던 그들은… (0) | 2017.04.24 |
---|---|
손석희 앵커브리핑중 무엇이 '참'이고 무엇이 '개'인가 (0) | 2017.04.20 |
손석희 앵커브리핑중 시민의 힘…"더 이상 속편은 없다" (0) | 2017.04.18 |
손석희 앵커브리핑중 '고독한 유권자'의 길을 떠나며… (0) | 2017.04.17 |
손석희 앵커브리핑중 언론은 동네북…두들겨야 북소리도 커진다 (0) | 2017.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