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지장갑' 이란 말 들어보셨는지요. 얼마 전 대학을 졸업한 20대 청년이 진행하고 있는 캠페인입니다.
우리가 무심결에 사용해왔던 '벙어리장갑' 이란 말이 실제 장애를 가진 이들에게는 상처가 될 수도 있다는 생각때문이었습니다. 청년의 어머니 역시 장애를 갖고 있었다고 합니다.
그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한두 명씩이라도 이 말을 쓰지 않다 보면 언젠가는 이런 표현이 사라질 것이다"
정유년 3월 1일의 대한민국. 남북 간의 체제경쟁은 이미 그 답이 나와 있고 3대 세습과 테러의 공포에 휩싸인 그곳에서 탈출하고자 하는 행렬은 이어지는 가운데 아스팔트 거리에서는 먼지 쌓인 '종북' '빨갱이' 라는 말이 부활하여 성조기와 함께 펄럭이고 있는 중입니다.
그 두려움의 단어들은 공산당 혹은 북한을 따른다는 의미를 품고 있을 것인데 지금의 시대에 북한의 체제를 동경하고 그래서 국가의 전복을 꿈꾸는 사람들이 과연 존재하기나 하는 것인지.
자신과 다른 생각은 모두 종북이라 몰아붙이는 그 선명한 흑백의 논리에 휘말려서 기미년을 돌이켜보는 삼일절의 태극기는 98년이 지난 정유년의 오늘, 숨을 죽여야만 했습니다.
"언젠가는 이런 표현이 사라질 것. 한두 명씩이라도 이 말을 쓰지 않다 보면…"
엄지장갑을 이야기했던 청년의 말처럼 세상에서 반드시 사라져야 할 단어들은 바로 이런 것들이 아닐까.
한두 명씩이라도 입에 올리지 않다 보면 이 땅에서도 언젠가 위협과 으름장을 품은 단어들은 사라질 수 있을 것인가.
"달빛 아래선 모두 블루"
2017.02.22 개봉
감독: 배리 젠킨스
출연: 알렉스 R. 히버트, 애쉬튼 샌더스, 트레반트 로즈, 메어샬라 알리
마이애미를 배경으로 한 흑인 아이가 소년이 되고 청년으로 성장해 가는 과정에서 푸르도록 치명적인 사랑과 정체성에 관한 이야기
며칠 전 오스카 작품상을 받은 영화 '문라이트'에 등장하는 대사입니다.
각자의 색으로 존재하지만 은은한 달빛이 비치는 그 아래에 서면 모두는 같다는 것.
갈등의 광화문 광장.
98년 전 누군가가 애끓는 마음으로 흔들었을 태극기가 본의 아니게 편가름의 상징이 되어버린 슬픈 삼일절의 하늘에도 달은 비추고 있기를. 비록 비는 내리고 있지만 말입니다.
오늘의 앵커브리핑이었습니다.
'▒밑줄을 그으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석희 앵커브리핑중 꽃샘추위 물러가듯…'더딘 통과의례쯤이야' (0) | 2017.03.08 |
---|---|
손석희 앵커브리핑중 손뜨개의 마법…"우리는 잊지 않았다" (0) | 2017.03.02 |
손석희 앵커브리핑중 춥고 뜨거웠던 2월…그리고 기다리는 봄 (0) | 2017.03.01 |
손석희 앵커브리핑중 '사즉생…살기 위해 죽다' (0) | 2017.02.27 |
손석희 앵커브리핑중 '고독한 혼밥의 시대' (0) | 2017.02.16 |